분류 전체보기
-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설치대상]구조원리(기계)/소화설비 2023. 5. 30. 16:29
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1) 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1)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별표 4 [설치대상] 제2조(적용범위) 이 기준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이하 "영"이라 한다) 별표 4 제1호가목 및 나목에 따른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설치 및 관리에 대해 적용한다.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4]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관리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제11조관련) 1. 소화설비 가.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소화기구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은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1) 연면적 33m2이상인 ..
-
[소화기 능력단위에 의한 분류]구조원리(기계)/소화설비 2023. 5. 30. 14:13
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1) 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1) 제3조(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소화약제"란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에 사용되는 소화성능이 있는 고체ㆍ액체 및 기체의 물질을 말한다. 2. "소화기"란 소화약제를 압력에 따라 방사하는 기구로서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소화하는 다음 각 목의 것을 말한다. 가. "소형소화기"란 능력단위가 1단위 이상이고 대형소화기의 능력단위 미만인 소화기를 말한다. 나. "대형소화기"란 화재 시 사람이 운반할 수 있도록 운반대와 바퀴가 설치되어 있고 능력단위가 A급 10단위 이상, B급 20단위 이상인 소화기를 말한다. 제4조(설치기준) ① 소화기구는 ..
-
[화재안전기준]카테고리 없음 2023. 5. 30. 00:14
화재안전성능기준(NFPC)-고시(법제처/훈령.예규.고시) 화재안전기술기준(NFTC)-공고(소방청) 기계 1) 소화설비 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1) 1.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1) 1. 소화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1-1. 가스누설경보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1-2.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2) 1-2.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2) 1-2-1. 「표시등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1-9.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9) 1-9.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109) 6. 고층건축물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4) 6. 고층건축..
-
[내화구조]소방안전관리론 2023. 5. 29. 20:40
건축법 시행령 제2조(정의) 7. “내화구조(耐火構造)”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로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를 말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건축물방화구조규칙 ) 제3조(내화구조) 영 제2조제7호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1. 벽의 경우에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가.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센티미터 이상인 것 나. 골구를 철골조로 하고 그 양면을 두께 4센티미터 이상의 철망모르타르(그 바름바탕을 불연재료로 한 것으로 한정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두께 5센티미터 이상의 콘크리트블록ㆍ벽돌 또는 석재로 덮은..
-
[특별피난계단의 구조]소방안전관리론 2023. 5. 29. 17:1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건축물방화구조규칙 ) 제9조(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①영 제35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라 건축물의 5층 이상 또는 지하 2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지하 1층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5층 이상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과 직접 연결된 지하 1층의 계단을 포함한다)은 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으로 설치해야 한다. ②제1항에 따른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3.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가. 건축물의 내부와 계단실은 노대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외부를 향하여 열 수 있는 면적 1제곱미터 이상인 창문(바닥으로부터 1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 것..
-
[방화벽]소방안전관리론 2023. 5. 29. 14:16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건축물방화구조규칙 ) 건축법 제50조(건축물의 내화구조와 방화벽) ②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방화벽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건축법 시행령 제57조(대규모 건축물의 방화벽 등) ① 법 제50조제2항에 따라 연면적 1천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은 방화벽으로 구획하되, 각 구획된 바닥면적의 합계는 1천 제곱미터 미만이어야 한다. 다만,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거나 불연재료인 건축물과 제56조제1항제5호 단서에 따른 건축물 또는 내부설비의 구조상 방화벽으로 구획할 수 없는 창고시설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제1항에 따른 방화벽의 구조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③ 연면적 1..
-
-
[소방관 진입창의 기준]소방안전관리론 2023. 5. 28. 17:58
건축법 제49조(건축물의 피난시설 및 용도제한 등) ③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소방관이 진입할 수 있는 창을 설치하고, 외부에서 주야간에 식별할 수 있는 표시를 하여야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건축물방화구조규칙 ) 제18조의2(소방관 진입창의 기준) 법 제49조제3항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이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것을 말한다. 1. 2층 이상 11층 이하인 층에 각각 1개소 이상 설치할 것. 이 경우 소방관이 진입할 수 있는 창의 가운데에서 벽면 끝 까지의 수평거리가 40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40미터 이내마다 소방관이 진입할 수 있는 창을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2. 소방차 진입로 또는 소방차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