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화재예방법 시행령]소방시설관리사/화재예방법 2025. 4. 5. 14:49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약칭: 화재예방법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 약칭: 화재예방법 시행령 )[화재예방법][화재예방법 시행령][화재예방법 시행규칙] [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1][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2][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3]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4] [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5] [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7] [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8] [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9] [화재예방법 시행규칙 별표2] 소방기본법 [소방시설공사업법][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다중이용업소법] [령 별표8][건설현장 606]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영은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
-
[화재예방법]소방시설관리사/화재예방법 2025. 4. 5. 13:36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약칭: 화재예방법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 약칭: 화재예방법 시행령 )[화재예방법][화재예방법 시행령][화재예방법 시행규칙] [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2][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3]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4][화재예방법 시행령 별표 5][화재예방법 시행규칙 별표1][화재예방법 시행규칙 별표2] [화재예방법 시행규칙 별표3] 소방기본법 [소방시설공사업법][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2] [다중이용업소법] [초고층재난관리법][별표 1] 위험물 및 지정수량(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 제2조 및 제3조관련)[위험물의 정의-비고]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화재의 예방과 안전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
-
[비상전원수전설비 602]소방시설관리사/화재안전기술기준 2025. 4. 3. 16:29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2)[비상전원수전설비 602]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4] [옥내소화전설비 102][스프링클러설비 103] [미분무소화설비 104A] [스프링클러설비 103]2.9 전원2.9.1 스프링클러설비에는 그 특정소방대상물의 수전방식에 따라 다음의 기준에 따른 상용전원회로의 배선을 설치해야 한다. 다만, 가압수조방식으로서 모든 기능이 20분 이상 유효하게 지속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2.9.1.1 저압수전인 경우에는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해야 하며, 전용의 전선관에 보호되도록 할 것2.9.1.2 특별고압수전 또는 고압수전일 경우에는 전력용 변압기 2차 측의 주차단기 1차 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하되, 상용전원의 상시공급..
-
[한국전기설비규정] KEC소방시설관리사/개념 2025. 4. 2. 21:00
한국전기설비규정[절연저항시험 _모음]110 일반사항) 111 통칙 111.1 적용범위1. 이 규정은 인축의 감전에 대한 보호와 전기설비 계통, 시설물, 발전용 수력설비, 발전용 화력설비, 발전설비 용접 등의 안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인 요구사항에 대하여 적용한다.2. 이 규정에서 적용하는 전압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가. 저압: 교류는 1 kV 이하, 직류는 1.5 kV 이하인 것.나. 고압: 교류는 1 kV를, 직류는 1.5 kV를 초과하고, 7 kV 이하인 것.다. 특고압: 7 kV를 초과하는 것. [KS규격] HF: 저독성 난연(Halogen free Flame retardant)I: 절연전선 (Insulation Wire)X: 가교 폴리올레핀(cross-linked polyolefin)..
-
[소방수리학_1]소방시설관리사/수리화학전기 2025. 3. 12. 00:17
1. 유체의 일반적 성질 (유체 이론) 1. 유체의 정의 1) 마찰에 의해 전단응력(Shear Stress)이 존재하는 물질. 즉, 아무리 작은 전단력이라도 유체 내에 작용하는 한 계속해서 변형하는 물질 2) 물질의 상태인 고체, 액체 기체 중 액체와 기체 3) 어떤 힘을 작용하면 움직이려는 액체와 기체 상태의 물질2. 유체의 분류1) 밀도 변화 (1) 압축성 유체 : 기체와 같이 압력을 가하면 체적이 변하는 성질을 가지는 유체 (2) 비압축성 유체: : 액체와 같이 압력을 가해도 체적이 변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는 유체 2) 점성 유무 (1) 이상 유체: 점성이 없는 비압축성 유체 (2)
-
[관예 607_02] 전기저장시설 설치장소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3. 9. 20:47
전기저장시설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7) [전기저장시설 607]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101][스프링클러설비 103][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203][제연설비 501] [관예 607_1] 전기저장시설 정의[관예 607_05] 전기저장시설 감지기[관예 324] 전기저장시설 배터리용 소화장치[관예 325] 전기저장시설 배출설비[관예 607_2] 전기저장시설의 설치장소 기준을 쓰시오 전기저장장치는 관할 소방대의 원활한 소방활동을 위해 지면으로부터 지상 22 m(전기저장장치가 설치된 전용 건축물의 최상부 끝단까지의 높이) 이내, 지하 9 m(전기저장장치가 설치된 바닥면까지의 깊이) 이내로 설치해야 한다. 2.7 설치장소2.7.1 전기저장장치는 관할 소방대의 원활한 소방활동을 위해 지면으로..
-
[관예 323] 전기저장시설 스프링클러설비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3. 9. 20:42
전기저장시설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7) [전기저장시설 607]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101][스프링클러설비 103][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203][제연설비 501] [관예 607_1] 전기저장시설 정의[관예 607_05] 전기저장시설 감지기[관예 324] 전기저장시설 배터리용 소화장치[관예 325] 전기저장시설 배출설비[관예 323] 전기저장시설에 설치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설치기준을 쓰시오. (다만, 배터리실 외의 장소에는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① 스프링클러설비는 습식스프링클러설비 또는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신속한 작동을 위해 더블인터락 방식은 제외한다)로 설치할 것 ② 전기저장장치가 설치된 실의 바닥면적(바닥면적이 230 ㎡ 이상인 경우에는 230 ㎡) ..
-
[관예 325] 전기저장시설 배출설비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3. 9. 20:24
전기저장시설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7) [전기저장시설 607]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101][스프링클러설비 103][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203][제연설비 501] [관예 607_1] 전기저장시설 정의[관예 607_05] 전기저장시설 감지기[관예 324] 전기저장시설 배터리용 소화장치[관예 325] 전기저장시설에 설치해야 하는 배출설비의 설치기준을 쓰시오. ① 배풍기ㆍ배출덕트ㆍ후드 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배출할 것 ② 바닥면적 1 ㎡에 시간당 18 ㎥ 이상의 용량을 배출할 것 ③ 화재감지기의 감지에 따라 작동할 것 ④ 옥외와 면하는 벽체에 설치 2.6 배출설비2.6.1 배출설비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 술123(10) 2.6.1.1 배풍기ㆍ배출덕트ㆍ후드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