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
[관예 328] 소방시설 내진설계기준 지진분리이음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3. 8. 17:34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건축물방화구조규칙 ] [관예 327]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배관의 설치기준[관예 328]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에서 지진분리이음에 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지진분리이음의 정의를 쓰시오. (2) 구경 65[mm] 이상의 배관에 설치하는 지진분리이음의 설치기준을 쓰시오. (1) 지진분리이음의 정의 지진발생시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배관에 손상을 주지 않고 배관의 축방향 변위, 회전, 1° 이상의 각도 변위를 허용하는 이음을 말한다. 단, 구경 200mm 이상의 배관은 허용하는 각도변위를 0.5° 이상으로 한다(2) 구경 65[mm] 이상의 배관에 설치하는 지진분리이음..
-
[관예 327]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배관의 설치기준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3. 8. 15:44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건축물방화구조규칙 ][관예 327]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에서 배관의 설치기준을 쓰시오. ① 건물 구조부재간의 상대변위에 의한 배관의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진분리이음 또는 지진분리장치를 사용하거나 이격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② 건축물 지진분리이음 설치위치 및 건축물 간의 연결배관 중 지상노출 배관이 건축물로 인입되는 위치의 배관에는 관경에 관계없이 지진분리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③ . 천장과 일체 거동을 하는 부분에 배관이 지지되어 있을 경우 배관을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사용하여야 한다. ④ 배관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흔들림 ..
-
[관예 322] 임시소방시설 간이피난유도선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3. 8. 01:07
건설현장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6)[령 별표8][건설현장 606][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101][가스누설경보기 206][비상조명등 304] [관예 319] 임시소방시설 소화기[관예 320] 임시소방시설 간이소화장치[관예 321] 임시소방시설 비상경보장치[관예 322]임시소방시설에서 간이피난유도선의 성능 및 설치기준을 쓰시오. ① 영 제18조제2항 별표 8 제2호마목에 따른 지하층이나 무창층에는 간이피난유도선을 녹색 계열의 광원점등방식으로 해당 층의 직통계단마다 계단의 출입구로부터 건물 내부로 10 m 이상의 길이로 설치할 것 ② 바닥으로부터 1 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하고, 피난유도선이 점멸하거나 화살표로 표..
-
[관예 321] 임시소방시설 비상경보장치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3. 8. 01:05
건설현장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6)[령 별표8][건설현장 606][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101][가스누설경보기 206][비상조명등 304] [관예 319] 임시소방시설 소화기[관예 320] 임시소방시설 간이소화장치[관예 321] 임시소방시설에서 비상경보장치의 성능 및 설치기준을 쓰시오. ①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각 층 직통계단의 출입구마다 설치할 것 ② 발신기를 누를 경우 해당 발신기와 결합된 경종이 작동할 것. 이 경우 다른 장소에 설치된 경종도 함께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③ 발신기의 위치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 면으로부터 15도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
-
[관예 320] 임시소방시설 간이소화장치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3. 8. 01:01
건설현장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6)[령 별표8][건설현장 606][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101][가스누설경보기 206][비상조명등 304] [관예 319] 임시소방시설 소화기[관예 320] 임시소방시설에서 간이소화장치에 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1) 간이소화장치의 성능및 설치기준을 쓰시오(2) 간이소화장치를 설치 제외할 수 있는 경우를 쓰시오. (1) 간이소화장치의 설치기준 영 제18조제1항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종료 시까지 작업지점으로부터 25 m 이내에 배치하여 즉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것(2) 간이소화장치를 설치 제외할 수 있는 경우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에 맞는 소화기(연결송수관..
-
[관예 319] 임시소방시설 소화기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3. 7. 22:30
건설현장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6)[령 별표8][건설현장 606][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101][관예 319]임시소방시설에서 소화기의 성능 및 설치기준을 쓰시오. ① 소화기의 소화약제는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1)」 2.1.1.1의 표 2.1.1.1에 따른 적응성이 있는 것을 설치할 것 ② 각 층 계단실마다 계단실 출입구 부근에 능력단위 3단위 이상인 소화기 2개 이상을 설치하고, 영 제18조제1항에 해당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종료 시까지 작업지점으로부터 5 m 이내의 쉽게 보이는 장소에 능력단위 3단위 이상인 소화기 2개 이상과 대형소화기 1개 이상을 추가 배치할 것 ③..
-
[관예 318] 지하구의 방화벽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3. 7. 10:34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5) [지하구 605]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101][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203][유도등 및 유도표지 303][연결살수설비 503][무선통신보조설비 505]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2][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4][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5] [관예 313] 지하구의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관예 314] 지하구 감지기 설치기준[관예 315] 지하구 연소방지설비[관예 316] 지하구 연소방지재[관예 317] 통합감시시설의 설치기준[관예 318] 지하구의 방화벽에 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1) 방화벽의 정의를 쓰시오(2) 방화벽의 설치기준을 쓰시오 (다만, 방화벽의 출입문은 항상 답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자동폐쇄장치에 의하여 화재 신호를 받으면 자동..
-
[관예 317] 통합감시시설의 설치기준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3. 7. 09:55
지하구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605) [지하구 605]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101][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 203][유도등 및 유도표지 303][연결살수설비 503][무선통신보조설비 505]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2][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4][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 5] [관예 313] 지하구의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관예 314] 지하구 감지기 설치기준[관예 315] 지하구 연소방지설비[관예 316] 지하구 연소방지재[관예 317] 통합감시시설의 설치기준을 쓰시오. ① 소방관서와 지하구의 통제실 간에 화재 등 소방활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시 교환할 수 있는 정보통신망을 구축할 것② "①"의 정보통신망(무선통신망을 포함한다)은 광케이블 또는 이와 유사한 성능을 가진 선로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