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예 256] 인명구조기구소방시설관리사/2차 예상문제 2025. 2. 14. 22:59728x90
[관예 256]
인명구조기구에 관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방열복, 공기호흡기, 인공소생기, 방화복의 정의를 쓰시오.
(2)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 및 장소별로 설치해야 하는 인명구조의 종류를 쓰시오 (관점 18)(1) 방열복, 공기호흡기, 인공소생기, 방화복의 정의
① 방열복의 정의
고온의 복사열에 가까이 접근하여 소방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내열피복
② 공기호흡기의 정의
소화활동 시에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종 유독가스 중에서 일정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압축공기식 개인호흡장비(보조마스크를 포함한다)
③ 인공소생기의 정의
호흡 부전 상태인 사람에게 인공호흡을 시켜 환자를 보호하거나 구급하는 기구
④ 방화복의 정의
화재진압 등의 소방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피복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 및 장소별로 설치해야 하는 인명구조기구 특정소방대상 인명구조기구 설치수량 1. 지하층을 포함하는 층수가 7층 이상인 관광호텔 및 5층 이상인 병원 . 방열복 또는 방화복(안전모, 보호장갑 및 안전화를 포함한다), 공기호흡기, 인공소생기 각 2개 이상 비치할 것. 다만, 병원의 경우에는 인공소생기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2.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수용인원 100명 이상인 영화상영관
3. 판매시설 중 대규모 점포
4. 운수시설 중 지하역사
5. 지하가 중 지하상가공기호흡기 층마다 2개 이상 비치할 것. 다만, 층마다 갖추어 두어야 할 공기호흡기 중 일부를 직원이 상주하는 인근 사무실에 갖추어 둘 수 있다. 6. 물분무등소화설비 중 이산화탄소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공기호흡기 이산화탄소소화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출입구 외부 인근에 1개 이상 비치할 것 1.7 용어의 정의
1.7.1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7.1.1 "방열복"이란 고온의 복사열에 가까이 접근하여 소방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내열피복을 말한다.
1.7.1.2 "공기호흡기"란 소화활동 시에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각종 유독가스 중에서 일정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압축공기식 개인호흡장비(보조마스크를 포함한다)를 말한다.
1.7.1.3 "인공소생기"란 호흡 부전 상태인 사람에게 인공호흡을 시켜 환자를 보호하거나 구급하는 기구를 말한다.
1.7.1.4 "방화복"이란 화재진압 등의 소방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피복을 말한다.
1.7.1.5 "인명구조기구"란 화열, 화염, 유해성가스 등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거나 구조하는데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1.7.1.6 "축광식표지"란 평상시 햇빛 또는 전등불 등의 빛에너지를 축적하여 화재 등의 비상시 어두운 상황에서도 도안ㆍ문자 등이 쉽게 식별될 수 있는 표지를 말한다728x90'소방시설관리사 > 2차 예상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예 258] 유도등 및 유도표지 설치기준 (0) 2025.02.16 [관예 257] 용도별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종류 (0) 2025.02.15 [관예 255] 피난기구의 최소개수 및 종류 (0) 2025.02.14 [관예 254] 피난기구의 감소기준 (0) 2025.02.14 [관예 253] 피난기구의 제외기준 (0) 2025.02.14